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유니티
- ue5
- DFS
- c++
- 백준
- 투 포인터
- 수학
- 자료구조
- XR Interaction Toolkit
- 스택
- 브루트포스
- 알고리즘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문자열
- Unreal Engine 5
- 유니온 파인드
- 우선순위 큐
- VR
- 구현
- 정렬
- 다익스트라
- BFS
- 트리
- 누적 합
- 그리디 알고리즘
- 백트래킹
- 재귀
- 시뮬레이션
- 그래프
- Team Fortress 2
- Today
- Total
목록c++ (497)
1일1알

문제에 쓰여있는 대로 구현을 했는데 구현하는데 시간이 꽤 걸렸다. 생각보다 까다로웠던 문제였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using ll = long long; vector v(11, vector(5)); vector visited(11, false); vector th; int origin_match = 0; int match_max = 100; void Solve() { bool isOrigin = true; for (int i = 0; i < 5; i++) { v[1][i] = t..

visited 배열을 이용했는데, bool이 아닌 int로 사용하였다. 아무것도 없는 공간은 가로로 간 곳을 세로로 다시 갈 수 있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았고, /와 \인 경우만 고려했는데, /의 경우에는 왼쪽과 위쪽에서 오는 경우 visited를 1로 하고, 오른쪽과 아래쪽에서 오는 경우는 visited를 2로 하였다. 백슬래시의 경우에도 선을 기준으로 왼쪽은 1, 오른쪽은 2로 하였다. visited가 1일 때 1로 설정한 곳에서 오거나 2일때 2로 설정한 곳에서 오면 무한히 반복되는 것이다. 그리고 visited가 3이면 양쪽 다 이미 들린 상태에서 또 들린 것이기 때문에 이것도 무한히 반복된다. 이걸 구현하는 게 쉽지는 않았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..

입력받은 순서대로 줄을 세우는데, 작은 수가 앞에 오도록 줄을 세워야 한다. 이때, 이동이 얼마나 일어나는지를 구하는 문제이다. 1. 자신보다 큰 수를 찾는다. 2. 없으면 push_back을 한다. 3. 있으면 중간에 끼워넣고 그 뒤에 있는 수만큼 sum을 증가시킨다. find_if와 람다를 사용해서 문제를 풀어보았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using ll = long long; int main() { 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(NU..

남서쪽이 (0, 0)이고 남동쪽이 (N-1, 0)이라고 했으니 ↓→↑← 순서로 돌아야 한다. 쭉 직진하다가 벽을 만나면 저 순서대로 도는 것을 반복하다가 만약 사방이 막혀있거나 이미 방문한 곳이라면 그곳이 나선이 끝나는 곳이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using ll = long long; int dRow[4] = { 1,0,-1,0 }; int dCol[4] = { 0,1,0,-1 }; int main() { 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..

한 자리수 중 가장 큰 수인 9부터 2까지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 확인하고 가능하다면 그 개수를 출력하고, 가능하지 않다면 -1을 출력한다. 1은 따로 처리해 주었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using ll = long long; int main() { 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(NULL); cout.tie(NULL); int t, n; cin >> t; while (t--) { cin >> n; if (n == 1) { cout

1. 도착지점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한다. 도착지점이 같을 경우에는 시작지점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한다. (시작지점을 기준으로 정렬을 하면 독점이 일어날 수 있다.) 2. 각 지점마다 트럭의 용량을 저장하는 벡터를 만들고, 시작지점에서 도착지점까지 중 가장 트럭에 짐이 많이 실린 용량 을 찾는다. 3. 트럭의 짐의 용량 + 내 용량이 c보다 크면 짐을 실을 수 있는 만큼만 자른다. 4. 시작지점부터 도착지점까지 내 짐의 무게가 트럭에 더해진다. 5. 2~4를 m만큼 반복한다.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..